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 전북 지역은 출산 장려금으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로즈대디 2023. 3. 28.
728x90
728x90
SMALL

전북 지역의 인구는 얼마나 될까 ?

전북 지역 2022년 12월말 기준 등록된 인구수는 176만9607명이다. 이 통계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자료에 내용이 들어있다.전북에 여러 시,도가 있지만 그래봤자 200만명이 되지 않는다.경인 지역과 비교를 해봐도 이 지역의 인구는 상당히 적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전북 지역내 장려금 지급액은 얼마나?

이렇다 보니 무언가 장려 정책이 뒷받침이 되지 않으면 미래의 어느 시기에는 상당히 안좋은 상황에 놓일 수 도 있는 것이다.

 

*김제시 : 200만원 (첫아이 출생때) + 3년간 생일인 달에 200만원 추가 지급.지자체 기준 800만원 지급인거고,,정부

              지원금을 포함하면 1000만원에 이른다.

 

*전주시: 30만원 (첫아이 출생),50만원(둘째),220만원(셋째)(자녀 양육비 120만원 포함)

 

*군산시: 30만원(첫째)(2022년기준),

             100만원(첫째)(2023년 부터)

             200만원(둘째)

             400만원(셋째)

             600만원(넷째)

             1500만원(다섯째 이상)

 

*익산시: 100만원(첫째)

               200만원(둘째)

               300만원(셋째)

               500만원(넷째)

               1000만원(다섯째부터) ,,,, 쌍둥이면 200만원..삼생아 이상은 300만원 추가 지원.ㅎㅎ

2030년 전북 지역 인구는 얼마나 추정될까?

문제는 저출산 상황을 독려해도 사람들이 섣불리 출산을 하지 않는 것이 문제다..왜냐하면 그만큼 살기가 힘드니까

아무튼 이쪽 지역의 미래의 인구 추정치는 ? 

' 2030년 169만명' 

' 2040년 160만명'

' 2050년 149만명' 

이렇게 예상이 된다고 한다.이러다가 전북 지역이 사라지는 것은 아닐지 걱정이 된다.

 

전북 지역에서 젊은 청년들이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국은 일자리인 것 같다.활발한 경제 활동이 수도권에 비해서 많이 제약을 받는다.인프라도 그렇고 고용 상황도 좋지 않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그래서 지역권 대학에서 졸업을 하면 너나 할 것 없이 전부 고향을 떠난다.경기도로 올라가서 취업활동을 한다거나 서울로 기회를 잡아 떠나는 젊은이들이 그만큼 많은 것도 현실이다.

 

그래서 말인데, 지역민의 한 사람으로서 새만금 경제단지가 하루 빨리 활성화 되었으면 한다.

728x90
728x90
SMALL

댓글